본문 바로가기
물리치료

물리치료사란?

by 만카츄 2021. 1. 21.
반응형

물리치료사

 

먼저 물리치료사는 면허증일까요? 자격증일까요?

 

 

 

 

 간단히 녹색창에 "물리치료사" 검색하면 이렇게 많은 글 들이 올라와 있는데 자격증이라는 글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물리치료사는 자격증이 아닌 면허증이라는 사실!!

 

면허증과 자격증은 차이가 있습니다.
자, 이제 면허증과 자격증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면허 : 일반인에게는 허가되지 않는 특수한 행위를 특정한 사람에게만 허가하는 행정 처분 또는 특정한 일을 할 수 있는 공식적인 자격을 행정 기관이 허가함. 또는 그런 일이라 합니다.

 즉, 면허증은 면허의 내용과 사실을 기재한 증서입니다.

그에 따른 직업군은 의사, 한의사, 약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안경사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자격 : 일정한 신분이나 지위를 가지거나 일정한 일을 하는데 필요한 조건이나 능력을 말합니다.

 즉, 자격증은 자격을 인정하여 주는 증서입니다.

그에 따른 직업군은 간호조무사, 사회복지사, 제빵사, 공인중개사, 직업상담사 등 이 있습니다.

 

의사 면허 없이 의료 행위를 하면 불법으로 법으로 처벌받게 됩니다. 하지만 국가기술자격증인 제빵기능사 자격증을 소지하지 않고 빵을 만들었다고 해서 처벌받는 일은 없겠죠?

물리치료사도 의사와 같습니다.
물리치료실에서 물리치료사 면허가 없는 사람이 물리치료를 하면 불법의료행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법에 의해 처벌받게 됩니다.


물리치료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물리치료사가 되려면

대학의 물리치료학과(4년제) 또는 전문대학의 물리치료과(3년제)를 졸업하고, 한국 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에서 주관하는 물리치료사 국가고시를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물리치료사 면허증을 받아야 합니다.

 

2. 국가고시

※시험과목

교시

시험과목(문제수)

교시별 문제수

비고

1교시

1. 물리치료 기초(60)

2. 물리치료 진단평가(50)

110

객관식 5지선다형

1문제(1점)

2교시

1. 물리치료 중재(70)

2. 의료관계법규(20)

90

3교시

1. 실기시험(60)

60

※합격 기준

ⓐ 필기시험 : 전 과목 총점의 60% 이상, 매 과목 40% 이상 득점자

ⓑ 실기시험 : 만점의 60% 이상 득점자

 

3. 진로

대학병원 물리치료사 : 안정된 직장, 연차가 높아질수록 높은 급여, 교직원 혜택 등으로 많은 물리치료사들이 선호하는 직장입니다.

근골격계 물리치료사 : 주로 근골격계 질환의 환자를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정형외과, 신경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의원에서 통증치료실, 도수치료실, 운동치료실에서 근무합니다.

신경계 물리치료사 :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 등 신경계 질환 환자들(뇌졸중, 뇌경색, 척수손상 등)을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로 주로 신경계 환자들이 입원한 병원에서 근무합니다.

소아 물리치료사 : 청소년이 되기 이전인 소아들을 치료해주는 물리치료사로 보통 뇌성마비 환자나 희귀병에 걸린 소아환자를 치료합니다.

산업체 물리치료사 :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체에 소속되어있는 물리치료사로 주로 대기업(삼성, 포스코, NC소프트 등) 안에서 기업의 직원들을 상대로 물리치료를 담당합니다.

스포츠 물리치료사 : 스포츠 관련 시설 프로 및 아마추어 운동 팀 의료담당, 운동처방실, 스포츠 관련 연구소 등에서 일하게 됩니다.

공무원 : 9급 의료기술직 공무원, 9급 보건직 공무원에 응시하여 합격하면 공무원이 그리고 될 수 있습니다.
군진 : 군진 물리치료 장교, 민간 의무부사관, 물리치료 군무원, 물리치료 특기병도 있답니다.

반응형

'물리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리치료란?  (0) 2020.12.31

댓글